본문 바로가기

람쥐도령의 연구실/잡학지식

연휴 이후 찾아오는 만성피로

반응형

길던 연휴가 끝나고 나서 다시 일을 하니 피곤이 몰려옵니다. 너무 피곤해서 집에 가자마자 잠자리에 들지만 해결되지 않고 자도 자도 피곤한 상태가 반복됩니다. 우리는 평소에도 피곤했지만 그래도 일상에 지장이 있을 정도는 아니였고 아침에 커피를 마시면 많이 나아졌습니다. 하지만 커피도 들지 않는 일이 반복되고 말죠. 연휴 이후에는 왜 피로감이 몰려올까요? 만성피로는 영양이 부족해서일까? 한번 알아봅시다.

 

 

 

목차

     

     


    만성피로는 다양한 이유 때문이다.

    만성피로는 3가지 요인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우리는 영양이 부족해서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아닌경우가 많습니다.

    첫째로, 영양소가 부족해서 만성피로가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보통은 비타민B와 비타민C의 부족 때문입니다.

    둘째로,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해 우리 몸은 갑작스러운 스트레스를 받아 부신피질이 높아져서 입니다.

    세번째로,  휴식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오래 잔다고 해서 무조건 회복이 되는 것이 아닙니다. 

     

     

     

     

     

     


    영양소의 부족인 경우

     

    예전과 다르게 우리는 다양한 음식물을 쉽게 접할 수 있고 이런 음식물에서 쉽게 여러 영양소를 섭취 할 수 있습니다. 영양 보충제로 여러 건강식품을 따로 챙겨먹는 사람들도 많지만, 과학지에서 이런 건강식품은 효과가 거의 없다고 합니다. 우리가 영양소가 부족한 경우는 거의 없고 과잉영양인 상태와 이로 인해 비만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성피로로 인해 영양실조를 생각하는 분이 존재하지만 영양실조에 걸릴 정도라면 이미 병원행이기 때문에 해당사항이 없다고 볼 수 있고, 현대인이 영양부족인 경우는 대다수 다이어트를 일상에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특정 몸무게에서 오래 머물면 그 몸무게를 유지하려고 하는 항상성을 가집니다. 하지만 다이어트 기간을 정하고 식단과 운동을 병행해서 내린 후 해당 몸무게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운동은 거의 하지 않고, 먹지 않아서 살을 빼려는 경우가 문제가 됩니다. 

     

     

     


     

    생활패턴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

     

    만성피로를 겪는 대다수가 여기에 속합니다. 연휴 기간동안 기존과 다르게 계속 누워있거나 행동이 거의 없거나, 갑자기 밤을 새워서 다른 일에 몰두하는 등 생활패턴이 급격하게 변화한 경우입니다. 우리 몸은 이런 생활패턴에 적응하게 되고, 다시 원래 일상으로 돌아가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정신적으로도 스트레스를 받지만 우리 뇌는 빠르게 적응하지만 우리 몸은 더 더디게 적응하게 됩니다. 이때 스트레스로 인해 부신피질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부신피질은 피로감을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악순환의 반복으로 인해서 수면의 질과 휴식을 해도 피로감을 반복적으로 느끼게 됩니다.

     

    이때 본인에게 맞는 스트레스 해소법을 통해 점차 스트레스를 해결하거나 명상, 종교활동, 소소한 운동, 취미활동 등으로 불안 상태를 조금씩 조절해나가면 됩니다. 

     

     

     

     


     

    휴식의 질이 떨어진 경우

     

    휴식을 오래한다고 피로감이 해소되지 않습니다. 이는 잠을 오래잤지만 여전히 피곤한 것과 일치합니다. 이때 휴식의 질을 올리는 것이 중요한데, 우리는 보통 잠을 통해서 휴식을 취합니다. 몸이 과한 긴장상태 혹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면 잠에 들기전에 수면놀람증으로 잠에 쉽게 들 수 없거나, 자다가 중간에 깨는 등 수면의 질이 안좋게 됩니다. 무조건적으로 잠에 드는 것이 아니라, 수면 1시간 전에 따뜻한 물을 마시고,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는 등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베개를 자신에게 맞는 것을 선택하여 수면의 질을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잠자리가 춥거나 덥지 않은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고 최대한 수면의 질을 올리기 위해서 암막커튼을 통해 빛을 차단하는 것도 좋습니다. 수면 중에 음악이나 소리를 트는 경우도 있는데 소음은 일반적으로 수면 시간 중 렘수면 상태에 영향을 미치므로 끄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간접흡연에 이은 3차 흡연(예비아빠가 꼭 금연해야 하는 이유)

     

    간접흡연에 이은 3차 흡연(예비아빠가 꼭 금연해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저는 금연을 한지 오늘로 590일이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담배를 달고 살았으나, 이제는 완전히 끊어낸 것 같습니다. 담배를 끊으면 알 수 있는 것이 있습니다. 담배

    citychipmunk.9loden.com

    노화를 막는 간혈적 단식 자가포식 오토파지

     

    노화를 막는 간혈적 단식 자가포식 오토파지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저는 나이에 비해서 굉장히 동안의 외모를 가지고 있고, 저 또한 주변으로 동안이라는 말을 자주 듣다 보니 동안을 유지하는 방법에 관심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그

    citychipmunk.9loden.com

    치매는 노화인가 질병일까?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와 예방 치료

     

    치매는 노화인가 질병일까?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와 예방 치료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여러분 뇌는 우리 몸에서 고작 2%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몸 전체 에너지의 20%이상을 사용할 만큼 가장 활동적으로 일하는 장기 이기도 합니다. 이런 뇌는 다른 장기

    citychipmunk.9loden.com

    노화를 부르는 활성산소와 중성지방 vs 노화를 막는 유익균

     

    노화를 부르는 활성산소와 중성지방 vs 노화를 막는 유익균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우리는 일생을 살면서 결국엔 노화라는 것을 겪게 되고, 이런 노화를 지연시키는 것은 결과적으로 우리를 미적 기준에 더 가까이 다가가게 만드는 행위라고 할 수

    citychipmunk.9lode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