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반은 여자다, 세상의 반은 남자다 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을겁니다. 맞습니다. 반은 아니고 거의 절반이죠. 인구비율로 따지면 52%와 48%정도 될겁니다. 연애나 결혼은 남녀가 만나서 하는 것인데 왜 주변 여자들은 다 연애나 결혼한 상태이고, 남성들은 죄다 결혼은 커녕 연애도 못하는건지 안하는건지 모르겠는 상황입니다. 소개해달라고 성화를 부리는 것 보면 안하는게 아니라 못하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일까?
목차
2020년 20세 ~ 44세 통계자료
2020년 통게자료에서 남성의 20세 ~ 44세의 '교재하는 이성이 있음' 비율은 25%로 4명중 3영은 연애를 하고 있지 않습니다. 반면 여성은 32%로 여성 3명중 한명은 연애나 결혼한 상태입니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이성과 교제하는 수가 약 7%정도로 더 높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남녀 비율은 남성이 약 52% 여성이 48%입니다.
즉 여성의 숫자가 더 적은데 더 많은 비율이 교제중이라는 것입니다. 남녀가 만나서 연애나 결혼을 하는데 분명 해당 통계수치에는 큰 이상이 없습니다. 하지만 주변사람이나 그 주변 사람들을 볼때 남성의 경우 대다수가 이성과 교제중이 아니고 여성은 거의 100%에 육박할 정도로 이성과 교제 중인 사람이 많습니다.
그럼 한번 따져봅시다.
대한민국 전체 남녀인구 비율
대한민국은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해서 한때 여성보다 남성이 훨씬 많이 태어나는 불균형 현상이 있었습니다. 이 시기가 약 40여년간 지속 되었으니 확실이 여성의 인구 비율은 적을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피임과 낙태이라는 것이 국민에게 인식이 될때 쯤부터 해당사항이 되었기 때문에 그 연간 비율은 10여년으로 좁아지며 그리 길지 않습니다. 이로 인한 문제로 인해 남성의 출산율이 훨씬 더 높았지만 차츰 비슷해졌고, 여성이 남성보다 더 오래 살고, 남성이 사고나 흡연과 음주로 인해 병으로 더 많이 사망하므로 자연스럽게 인구 비율은 절반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이성과 고제하는 남녀의 인구 차이는 더 심하게 차이가 벌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즉 전체 통계에서 반반이 이성이라는 것은 통계에서는 맞지만, 실제 나이로 따졌을때는 다르다는 것이죠.
2020년 전국 출산력에 대한 실태조사
2020년 전국 출산력에 대한 실태조사에서 20 ~ 44세 남성의 교제비율은 25%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현재 2025년은 더 줄어서 20% 안팎 일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성은 32% 남성보다 더 높은 수치로 나타납니다. 즉 전체통계의 인구비율과 남자와 여자의 교제비율을 따진다면 얼핏 비슷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실태조사 통계자료는 오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남성은 1100여명 여성은 1300여명이 참여했다는 것입니다. 한쪽이 더 많은 비율로 조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의도가 되었던 안되었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남성과 동일한 수의 1100여명을 조사했을때 비율은 더 높아질 수도 더 낮아질 수도 있으나 인원을 보충해서 통계를 원하는대로 고르게 뽑을 수 있단 뜻입니다.
자 그럼 앞에서 말한 통계의 오류와 실태조사를 비교해 봅시다.
전체 인구비율 중에서 남성의 인구감소는 여성의 인구감소 보다 높습니다. 질병이던, 사고이던, 고독사이던 모든 비율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사망할 확률이 높으며 기대수명도 더 짧습니다. 이는 높은 연령층의 남성이 더 적다는 뜻이 됩니다. 그럼에도 인구는 남성이 더 많습니다. 즉 0 ~ 40이하의 남성의 비율은 통계자료보다 더 높다는 뜻이 됩니다. 남성의 통계가 높다면 당연히 교제에 대한 비율도 적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즉 해당 자료를 통해서 유추해볼때
가정 1. 원래 남성이 여성보다 훨씬 많은 비율로 인구 분포를 가지고 있음
가정 2. 이런 표본을 숨기기 위해서 각종 통계자료를 조사할때 동일한 수를 하는 것이 아닌 더 많은 숫자를 포함시켜 통계자료를 충분히 조작 할 수 있음
가정 3. 남녀 비율의 심각한 차이는 곧 사회문제와 큰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국가는 은폐
가정 4. 현재의 정부에서 저출산의 원인과 해결을 정확히 못집는 것은 여기서 비롯된 문제일 수 있음.
왜 우리 주변을 보면 여성들은 교제중이고 남성은 아닐까?
위 내용을 대입해볼때 보다 현실적인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통계에서는 절반이 남성이고 절반이 여성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20~44세의 인구비율은 남성이 여성보다 10~15% 더 많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통계자료는 마치 올바른 정보의 지표처럼 보여지지만 실제로는 보여주고 싶은 정보만 공개하고 보여주기 싫은 정보는 그래프나 그림 정도로만 표현해서 넘길 수있고 표본조사를 숫자차이를 더 내며 충분히 원하는 데이터 값을 뽑아낼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순속임이 쉬운 자료입니다.
조금 더 깊히 조사를 해봐야 하겠지만 의문인 점이 한둘이 아닙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설날 인사말과 세배 절하는 방법 설날이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벌써 새해가 시작된지 꽤나 시간이 지났습니다. 곧 설연휴가 다가오기 때문에 다들 쉬거나 쉬지 못해서 마음이 싱숭싱숭 할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새해 인사는
citychipmunk.9loden.com
낭만과 자유의 남유럽 문화예절 속 남유럽의 인사방법(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스위스)
낭만과 자유의 남유럽 문화예절 속 남유럽의 인사방법(스페인 이탈리아 그리스 스위스)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돌아온 나라별 인사방법 시리즈 전세계편입니다. 이번의 경우 제가 좋아하는 나라인 그리스와 스페인 등이 유럽 국가들이 있는 곳이라 더욱 그리운 것 같습니다.
citychipmunk.9loden.com
국제매너 상식 : 터키 인사법과 이집트 인사법(터키는 중동, 이집트는 아프리카)
국제매너 상식 : 터키 인사법과 이집트 인사법(터키는 중동, 이집트는 아프리카)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돌아온 나라별 인사법 시리즈 전세계편입니다. 전세계 모든 나라를 가서 직업 문화를 모두 섭렵할 순 없지만, 그래도 가본 곳 그리고 대표적인 나라를 추려서 조사
citychipmunk.9loden.com
예비군 훈련 정리 그리고 예비군 훈련에 불참하면 어떻게 되는가?
예비군 훈련 정리 그리고 예비군 훈련에 불참하면 어떻게 되는가?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대한민국 남성들은 특별히 사회이거나 건강상의 문제가 없다면, 거의 대부분이 군복무를 하게 됩니다. 이런 군복무는 최근 1년6개월로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 이후
citychipmunk.9loden.com
'람쥐도령의 연구실 >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종류 chat Gpt, 딥시크, 구글 Gemini (0) | 2025.02.10 |
---|---|
연휴 이후 찾아오는 만성피로 (0) | 2025.02.05 |
관상은 과학인 이유 얼굴에는 성격이 쓰여있다. (0) | 2025.02.04 |
SNS가 사람을 망치는 과정, 자기연민의 늪 (0) | 2025.02.04 |
조선시대 국력은 왜 약했을까? 고려거란전쟁, 고구려 수당전쟁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