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람쥐도령의 연구실/잡학지식

빤스런 치다 빤스런의 의미와 유래

반응형

인터넷 상에서나 현실에서나 이따금 나오는 빤스런이란 말이 있다. 이는 고유 한국어는 아니며 팬티를 의미하는 일본어인 빤스에 도망치다라는 영어인 RUN(런)을 합친 인터넷용어이다. 첫 시초는 어떤 불륜 현장에서 남편이 들이닥치자 불륜을 저지르던 남성이 베란다로 도주 했는데 해당 장면에서 유래됐다고 볼 수 있다. 이때 남성은 팬티만 입고 도망을 쳤었는데 그것을 보고 인터넷에서 '빤스런 친다'고 하며 밈이 형성되었다.  

 

 

 

목차

     

     


    빤스런 치다?

    빤스런이라는 것은 정확한 사전적인 용어로 구성하면 '팬티런' 혹은 'Run away'가 맞다. 하지만 한국의 인터넷 용어들은 일본어의 한국식 바름에 영어를 합쳐서 우스꽝스럽게 만드는 것이 밈이므로 빤스(일본어의 영어발음) + 런(도망치다의 영어)로 형성되었다. 인터넷상에서 서로 욕설을 하면서 다투거나 논쟁 중에 한쪽이 일방적으로 밀릴때 댓글을 삭제하거나 글을 삭제하는 행위를 하는 것을 빤스런 쳤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빤스런의 유래와 밈이 되기 까지

     

    어떤 인물이 신도와 불륜관계였는데, 상간녀의 자택에서 불륜관계 중 남편이 들이닥치자 속옷 만 입고 베란다로 도망을 쳤다. 이때 많은 이들이 영상과 사진을 보면서 도망치는 장면을 보고 빤스런친다고 하여 그 유래가 되었다. 그 이후로는 종종 쓰이다가 해병대 총기난사 사건에서 총소리를 들은 해병들이 속옷바람으로 민가로 도망치며 다시 한번 재조명 되었다. 빤스런의 유래는 불륜 사건이 맞고 그후 해병대 총기난사 사건에서 빤스런이 다시 쓰이면서 유행하는 밈이 되었다.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가?

     

    빤스런이란 단어는 애초 조롱이 섞인 단어이다. 일본어도 영어도 그렇다고 한국어도 아닌 2개국어가 섞였으나 한국식 표기로 된 괴상한 단어이다. 빤스는 일본어를 영어로 표현한 말이고, 런은 그냥 영어의 RUN이다. 주로 인터넷 상에서 다툼이 있다가 한쪽이 밀려서 글과 댓글을 삭제하고 도망치거나, 다툼이 있고 서로 전화번호를 공개하거나 현실에서 싸움을 하려고 할때 이를 회피하면 빤스런 쳤다고 한다. 일반인은 큰 연관이 없을 단어이고, 하루 일상을 인터넷에서 오래 머무는 사람들이 자주 사용하고 본인에게 사용되어지는 단어이다.

     

     

     

     

     


     

    빤스런 친다 라는 말은 조롱이자 싸움을 겪화 시키는 요소

     

    일반적으로 논쟁이 있을 시 한쪽이 논지에서 밀리거나 다툼에서 밀려서 싸움을 그만두면 그냥 거기서 끝나는 상황이다. 그리고 한쪽이 다른 쪽의 논지를 인정하거나 양측이 인정하면 되는 것이 바람직한 논쟁 혹은 토론의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토론문화는 반드시 한쪽의 의견이나 대상을 회생불가로 만들어야 되는 극단주의적인 성향이 있다. 이런 극단주의에 기름을 뿌리고 겪화시키는 요소가 '빤스런 친다'와 같은 단어들이다. 이런 묘한 단어들은 조롱과 비꼼을 섞어 서로 물러날 수 없는 토론문화를 형성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기원전 기원후 나누는 기준과 세기 계산법(역사학자 피셜)

     

    기원전 기원후 나누는 기준과 세기 계산법(역사학자 피셜)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저는 전공 중 하나가 역사학으로 꽤 오랜시간 역사를 공부해왔었습니다. 학자라는 자부심도 어느정도 있지만 그 자부심이 무색할만큼 너무나 배고픈 전공인 것 같

    citychipmunk.9loden.com

     

    치매는 노화인가 질병일까?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와 예방 치료

     

    치매는 노화인가 질병일까?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와 예방 치료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여러분 뇌는 우리 몸에서 고작 2%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몸 전체 에너지의 20%이상을 사용할 만큼 가장 활동적으로 일하는 장기 이기도 합니다. 이런 뇌는 다른 장기

    citychipmunk.9loden.com

    열대어 구피 질병 종류와 치료방법

     

    열대어 구피 질병 종류와 치료방법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저는 열대어를 키운지 벌써 5년 정도 되었는데요. 본가와 저의 분가한 집 모두 어항이 있고 그곳에서 수백마리의 열대어가 살아가고 있습니다. 보통 원래 키우던 열

    citychipmunk.9lode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