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전 한때 대기업 인사팀에서 근무한 적이 있습니다. 물론 오래 다니지 않고 퇴사했는데 살인적인 업무량과 더불어 거의 매일 이루어지는 접대를 하고 이로인한 술자리로 인해서 건강이 급속하게 나빠졌기 때문이였습니다. 또한 가장 치명적인 것은 대기업이 가지고 있던 공채에서 비롯된 진골성골 문화를 인사팀 직원으로 너무 노골적으로 보았기 때문입니다. 노력으로는 넘을 수 없는 계급이 존재함을 알고 바로 그만두고 직업을 변경했습니다. 그럼 대기업의 악습 진골성골 문화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목차
대기업 진골성골 문화
모 대기업 입사자
해외유명대학(미국, 유럽), 서울대 - 성골
연고대, 서성한중경외시 등 - 진골
서울권 하위 및 지거국(지방거점국립대학) - 6두품
지방사립대학교 - 7두품 이하
- 특이사례는 아래의 설명에서 설명합니다.
성골 계급
애초 진골성골 문화라는 것은 서류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것이 존재하면 엄청난 논란이 될 것이므로 쉬쉬하지만 각 직원의 대학교 학과 학점 자격증 직위 어학 등 다양한 것들로 구분해둔 서류는 분명 존재한다. 또한 어쨋든 공채출신들이 진골성골로 구분되고 중간에 이직한 사람들은 6두품 취급을 받는다. 선발할때 학점은 큰 의미가 없고 자격증이 많고 여러 대외활동 및 인턴활동 등은 분명 플러스 요인이지만 비고란에 '스펙왕' 정도로 적힐 뿐 반드시 합격하지는 않는다. 직원들 사이에서 성골이라고 불리는 계급은 임원으로 키워질 일종의 제후, 왕의 씨앗으로 불린다.
성골계급은 예전에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였으나, 현재는 해외 유명대학교가 1순위이고 그 다음이 서울대이다. 성골계급은 대기업에서 임원을 염두에 두고 선발하는 계층인데, 뽑아놓고 보면 그다지 학벌과 일머리와는 연관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학습된 기반으로 다방면에서 빠르게 적응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이미 누적된 학벌층으로 인해서 임원이나 사장이 나뉘어있는 경우는 현재 선발한 성골계급과 거리가 있을 수 있다. 어쨋거나 임원이라는 것은 경쟁을 통해서 선발되는 것인데 현재 임원과 부장 차장에 어떤 학벌이 많은지를 파악하면 해당 학벌의 라인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성골에 전혀 연관이 없는 한양대와 고려대 라인과 같이 임원진이나 사장이 되었던 인물들이 존재한다면 진골층이라도 임원이 될 수 있다.
진골 계급
진골계급은 학벌이 서성한 까지라고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대기업에서 임원진은 서성한 까지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드물게 다른 학벌도 존재하지만, 독보적으로 끌어줄 힘이 없고 후계라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외 현재로서 선발할때 자체는 중경외시 등 서울권 중상위권 대학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임원이 될 수 는 있지만 가능성이 조금 먼 실무자로서 가능성을 열어두고 선발한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다.
학벌이 존재하는 라인에 위치한 경우 본인이 진골계급이라고 볼 수 있다. 업무능력이 출중하다면 충분히 임원에도 가능성이 있다.
드물게 지방국립대나 지방사립대학교가 존재하긴 한다. 지방국립대 사립대의 경우 해당 회사나 사업장이 위치한 경우 선발한 사례이고, 공채에서 지방 사립대가 선발된 경우는 2000년도 전후로는 드물게 사례가 존재했다. 2015년 이후론 학벌 외에 스펙이 비교 불가능한 엄청난 경우이다. 가끔 개천에서 용이 나는 경우이며 이들은 처음 들어오면 작은 업무에도 엄청난 성과를 내지만 정해진 미래로 인해서 점점 빛을 잃거나 퇴사하여 다른 일을 하는 경우가 많다.
현재로 지방국립대는 연구직 정도로 선발된다. 지방사립대는 선발된 사례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는 이들을 진골로 구분하지 않는다. 같은 공채여도 6두품으로 구분한다.
6두품 계급
예전에는 6두품이라고 함은 지방사업장에서 자체적으로 선발(1직급이 낮음), 생산직 혹은 지방사립대학교에 한정된 계급이었다. 하지만 학벌이 누적되고 엄청난 경쟁사회에서 점점 기준이 높아지며, 지방국립대와 현재는 서울권 하위대학교 까지 포함되고 있다. 선발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최대 부차장까지 진급하거나 대리, 과장에서 머무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드물게 경북대 라인이 회사에 존재하기도 한다.
퇴직할때까지 대리나 과장인 경우도 종종 있다. 공채라인의 마지막 계급이고 지방거점 국립대학의 경우 연구직 정도로 한정되는 사례가 많다.
6두품이 임원이 된 사례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아무리 직무를 통해 영향력과 능력을 입증해도 부장에서 임원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부장에서 호봉만 올라갈 뿐이다. 퇴작이 가까운 부장의 경우 연봉이 약 1억 6천에서 1억 8천정도 되었으니 급여는 충분히 받아서 금융치료가 된다고 볼 수 있다.
생산직의 경우 사무직의 계급인 사원 - 주임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임원 - 사장 과 연관이 없는 다른 별개의 계급을 가진다. 애초 군대와 같이 사무직은 장교이고 생산직, 기술직은 부사관이라고 볼 수 있다. 사무직의 경우 노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생산직은 노조가 존재한다. 생산직의 경우는 노조를 통해서 비공식적 계급을 올릴 수 있는데, 공식적인 계급은 반장이라고 불리고, 비공식적 계급은 노조위원, 노조위원장 등이 존재한다. 노조위원의 경우 곧 퇴직하는 생산직이 명예직과 같이 돌려가면서 되는 경우가 많다. 노조위원장의 경우 지역지부장과 같이 구분되는데 지역지부장의 연봉은 3억 6천 정도 되었다.
직업의 안정도 측면에서는 군대에서 장교는 장기가 되어도 근무기간이 짧게 한정되어 전역을 해야하지만, 부사관의 경우는 길고 근속연수가 높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무직과 생산직, 기술직 등은 안정도 면에서 생산직이 노조의 존재와 더불어 근속에 대한 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지식재산학_지식재산관리론 특허 괴물(PATENT TROLL)의 전략 및 특허 괴물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조사하시오
지식재산학_지식재산관리론 특허 괴물(PATENT TROLL)의 전략 및 특허 괴물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지식재산학 수업 중 지식재산관리론의 특허 괴물의 전략 및 특허 괴물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조사하는 과제를 수행하면서 작성한 내용입니다. 인터넷과 유튜브
citychipmunk.9loden.com
로또 최대 당첨금과 최저 당첨금 평균과 미국 로또 당첨금까지 총정리
로또 최대 당첨금과 최저 당첨금 평균과 미국 로또 당첨금까지 총정리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인생의 한방이다 라는 말이 있듯 우연찮게 샀던 로또로 일확천금을 얻은 사람들의 이야기는 종종 우리들에게 삶의 희망이나 기대감을 주기도 합니다. 물론 특정 인
citychipmunk.9loden.com
제조약 유통기한은 어떻게 될까? 약에도 소비기한이 있다.
제조약 유통기한은 어떻게 될까? 약에도 소비기한이 있다.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약에도 유통기한이 있다는 것을 아십니까? 제조약과 포장된 약들은 각각 다른 유통기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요즘은 소비기한이라는 음식이 상하는 것을 표시하고
citychipmunk.9loden.com
'람쥐도령의 연구실 >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시대 국력은 왜 약했을까? 고려거란전쟁, 고구려 수당전쟁 (0) | 2025.02.04 |
---|---|
노력충? 노오오력을 하죠 노력을 하지 않는다. (0) | 2025.02.03 |
즉신불, 산채로 미라를 만드는 일본의 등신불 문화 (0) | 2025.01.31 |
할아버지들은 왜 군복을 입고 나올까 (0) | 2025.01.31 |
콧물이 나는 이유와 원리 독감에 걸리면 어떻게 될까?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