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기호학 용어 정리_대상언어와 메타언어, 기표와 기의, 형식과 실체 안녕하세요 람쥐도령입니다. 문화기호학이란 우리 일상의 모든 요소를 일종의 기호로서 접근하는 분석이자, 국어국문학에서 파생된 학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당히 난이도가 높은 학문이며, 보통 교양과목으로 개설이 되나, 도서관에서도 책이 드물어서 굉장히 자료조사가 어려운 과목 중 하나입니다. 이런 문화기호학의 용어를 수십권권 책과 논문 등을 참고하여 정리해냈으니 그것이 문화기호학 용어정리 파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대상언어와 메타언어의 구분 그리고 기표와 기의, 형식과 실체에 대한 용어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대상언어와 메타언어 대상언어란 이차원적 혹은 고차원적 언어를 통칭하는 메타(meta) 언어의 대상이 되는 언어. 대상언어와 메타 언어는 상대적으로 구분된다. 가장 원초적(原初的.. 더보기 이전 1 다음